728x90
반응형
KDS 41 12 00, 2022로 개정되면서 풍하중 부분에 많은 변화가 있었다.
기존 재현주기 100년에 해당하는 풍하중이 재현주기 500년으로 변화되었다.
이로 인해 기본풍속이 변화되었는데... 개정 전 제공해주던 기본풍속 표가 사라지고 기본풍속지도를 바탕으로 엔지니어가 기본풍속을 선택해야 한다.
기본풍속의 변화 외에도 하중조합의 변화, 풍향계수의 등장 및 가스트영향계수의 변화, 내풍성능설계의 도입 등 많은 변화가 있었기에 해당 내용을 다 담을 수는 없을 것 같다...
개정된 풍하중으로 밀폐형 건축물의 수평풍하중을 산정하는 엑셀을 만들어 보았다. 최대 70층까지 고려할 수 있도록 하였고 파란색으로 된 셀에 입력값을 넣으면 자동으로 계산되도록 하였다.
여기서, M* 이라는 "건축구조물의 풍방향 1차진동일반화질량" 산정에 대해 많은 고민을 했고, KBC2016 해설에 나온 수식을 응용하여 계산해 보았다.
- KBC2016 해설 176~177 Page
- KDS 41 12 00, 2022
KBC2016 에서는 β = 1 이었고, KDS 41 12 00, 2022 에서는 건축물의 시스템별 β값이 위의 그림처럼 정해진 것으로 생각하여 산정했다.
- KDS 41 12 00, 2022 개정 풍하중 산정시트
- 사용법 예시
728x90
반응형
'■ 구조설계 ■ > 01 설계하중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진하중 보정계수 (KDS 41 17 00, 2022) (32) | 2023.01.04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