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구조설계 ■/01 설계하중 관련

주골조설계용 수평풍하중-밀폐형 건축물 (KDS 41 12 00, 2022)

728x90
반응형

KDS 41 12 00, 2022로 개정되면서 풍하중 부분에 많은 변화가 있었다.

 

기존 재현주기 100년에 해당하는 풍하중이 재현주기 500년으로 변화되었다.

 

이로 인해 기본풍속이 변화되었는데... 개정 전 제공해주던 기본풍속 표가 사라지고 기본풍속지도를 바탕으로 엔지니어가 기본풍속을 선택해야 한다.

 

기본풍속의 변화 외에도 하중조합의 변화, 풍향계수의 등장 및 가스트영향계수의 변화, 내풍성능설계의 도입 등 많은 변화가 있었기에 해당 내용을 다 담을 수는 없을 것 같다...

 

개정된 풍하중으로 밀폐형 건축물의 수평풍하중을 산정하는 엑셀을 만들어 보았다. 최대 70층까지 고려할 수 있도록 하였고 파란색으로 된 셀에 입력값을 넣으면 자동으로 계산되도록 하였다.

 

여기서, M* 이라는 "건축구조물의 풍방향 1차진동일반화질량" 산정에 대해 많은 고민을 했고, KBC2016 해설에 나온 수식을 응용하여 계산해 보았다.

 

  • KBC2016 해설 176~177 Page

 

  • KDS 41 12 00, 2022

 

 

KBC2016 에서는 β = 1 이었고, KDS 41 12 00, 2022 에서는 건축물의 시스템별 β값이 위의 그림처럼 정해진 것으로 생각하여 산정했다. 

 

  • KDS 41 12 00, 2022 개정 풍하중 산정시트

 

  • 사용법 예시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