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ython 에 대한 글을 올리기 전에 일단 먼저 짚고 넘어가야 하는 부분이 있다.
일단... 나는 코딩에 대해서 전문적으로 배운적이 없다..!!!
하지만 반복되는 구조설계 실무를 좀 더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여기저기 찾아가면서.. 물어가면서.. 나만의 코딩 방법을 익혔다.
따라서, 내가 올리는 모든 코딩에 대한 글은 지극히 개인적인 스타일에 맞추어져 있으며 그외 전문적인것에 대한건 잘 모른다... (사실 구글링하면 더 많은 전문가분들이 계신다..)
그럼 내맘대로건축코딩을 시작해보자!!
< 업무 적용을 위한 코딩의 기본 Flow >
1) 원하는 Data를 원하는 방식으로 읽어들이기.
2) 실무에 적용하기 위한 Logic 을 적용하여 중간과정 만들기.
3) 중간과정을 거친 결과값을 원하는 방법으로 얻어내기.
내가 코딩을 구현하는 방식은 위의 3가지에 준한다. 따라서, 해당 Flow를 충실하게 나만의 스타일로 구현한 방법을 공유하고자 한다.
이번 글은 Input Data 를 읽는 방법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 아 물론 나만의 스타일로... )
사실 모든 코딩이라는게 개인적으로 언어만 이해하면 쉽다고 생각한다.
("안녕", "Hello" 등 언어만 다를 뿐 사람을 만났을 때 하는 말임이 같은 것과 같은 느낌적인 느낌....)
내가 Python으로 Input Data 를 읽는 방법은 간단하다.
- Excel 로 Data 입력값 포멧 만들기 (Excel로 만들어야 편하다...)
- Python으로 Excel 의 입력된 Data를 읽기 (pandas 와 numpy 활용)
- "2차 방정식의 해"를 구하는 방법을 코딩으로 구현해보자! (Input -> Logic -> Output 모두 다 알고 있다.!)
1. Excel 로 Input Data 만들기
1) Excel 로 Input 입력값을 만들면 다양하게 꾸밀 수 있어서 편하다.
2) 위의 Input Table에서 내가 읽어야 하는 부분은 a, b, c의 값들이며 위치는 D6:F8 이다.
3) Input Data 가 현재는 3개로 되어 있지만, 사실 100개, 200개여도 무관하다.
2. Python으로 Input 읽기
1) 먼저, Excel에서 읽을 수 있도록 4개의 라이브러리를 불러온다.
#---------------------------------------------------------------------
# Import python Series
#---------------------------------------------------------------------
import pandas as pd
import numpy as np
from tkinter.filedialog import askopenfilename
from tkinter import messagebox
- pandas 를 사용할 것이며, 단축어로 pd 로 함.
- numpy 를 사용할 것이며, 단축어로 np 로 함.
- tkinter 를 사용하여 Excel 이 있는 위치를 특정할 수 있음. (찾아서 열 수 있다.)
2) Python 으로 Input Data 를 읽어들이자.
#---------------------------------------------------------------------
# Read a Input Data
#---------------------------------------------------------------------
messagebox.showinfo("Open", "Open a input file")
files = askopenfilename()
xls = pd.ExcelFile(files)
Input_df = pd.read_excel(xls, sheet_name=0, skiprows=4, usecols="D:F")
- xls = pd.Excelfile(files) --> 특정 경로에 있는 Excel 파일을 읽어서 "xls"이라는 변수로 고려함.
- Input_df = pd.read_excel(xls, sheet_name=0, skiprows=5, usecols="D:F")
--> xls 이라는 Excel을 읽어오기.
--> sheet_name = 0 : 읽고자 하는 Data가 있는 Sheet의 순서를 기입 (Excel의 첫번째 Sheet이기 때문에 0 이다.)
--> skiprows = 4 : 읽고자 하는 Data가 6행 부터 시작하기 때문에 위의 "5개" 행은 Skip 한다는 뜻.
--> """ Python은 0부터 시작이다..."""
--> useclos = "D:F" : D열부터 F열까지의 값을 읽겠다. 라는 뜻.
--> pd.read_excel : pa ( padas )를 활용하여 excel의 data 값을 읽음.
--> 읽고자 하는 Input Data를 "Input_df"로 정의하여 읽어오기 성공.
3) 내가 원하는 Input Data가 읽어졌는지 확인.
#---------------------------------------------------------------------
# Check a Input Data
#---------------------------------------------------------------------
print(Input_df)
4) 눈으로 보자
- Input 값과 동일한 Data를 읽어들였다...
이번 글에서는 Excel 로 된 Input Data 를 Python의 Dataframe 으로 읽어들이는 방법을 소개했다.
앞으로.... 읽어들인 Input 값을 바탕으로 2차 방정식의 해를 구하고, Output 까지 Excel로 뽑는 전 과정을 보여줄 수 있도록 하겠다.
'■ 코딩 ■ > 02 Python 실무적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Input) Python Input Data 이해하기 - 2 (Numpy) (3) | 2023.02.24 |
---|---|
(Input) Python Input Data 이해하기 - 1 (DataFrame) (3) | 2023.0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