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콘크리트 구조기준(KCI 2012)와 건축구조기준(KBC2016)에서는 2방향 전단에 대한 검토식이 서로 달라서 많은 혼동을 겪었었다...
하지만 현재는 KDS 14 와 KDS 41 의 2방향 전단 검토식이 통일되었으며, KDS 14 20 00 : 2021 기준에서는 2방향 전단에 의한 과설계를 방지하기 위해 ks 의 하한값을 도입하였다.

처음에 해당 기준이 개정되고 MIDAS Design+ 가 업데이트 되기 전에 사용하려고 만들었던 엑셀시트입니다.
본 설계시트를 바로 계산서에 첨부 할 수 있도록 개인적으로 반영한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 슬래브와 기초의 하중고려 면적이 다르기 때문에 설계에 고려하는 전단력 Vu는 입력값으로 고려.
- 부재의 유효춤 d 또한 입력값으로 고려.
- 불균형모멘트의 영향 "미고려"
- 기둥 사이즈가 단변, 장변 서로 다를 경우가 있으므로 Edge-1, Edge-2 로 2개 타입고려. (위험단면의 둘레에 차이)
- 전단보강근 배치 시 기둥 단변, 장변 폭 내에 들어와야 하므로 각 방향별 전단보강근 대수를 각각 입력할 수 있도록 고려.

개인적으로 조금 아쉬움이 남는 부분이 있다면... 전단보강근이 필요하지 않는 경우에 전단보강근 관련 그림은 사용자가 직접 지워줘야 한다는 점이다.... (아직 엑셀 스킬이 부족한 듯 합니다...)
- 사용법 예시
728x90
반응형
'■ 구조설계 ■ > 02 부재설계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슬래브의 균열폭 검증 (1) | 2023.02.05 |
---|---|
(내진성능설계) 연결보 비선형 모델 형성 시트 (3) | 2023.01.24 |
(내진성능설계) 일반보 비선형 모델 형성 시트 (6) | 2023.01.19 |
내수압슬래브 설계 시트 (2방향 슬래브) (48) | 2023.01.09 |
보 설계 엑셀 시트 (KDS 41 00 00, 2022) (11) | 2023.0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