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구조설계 ■/02 부재설계 관련

내수압슬래브 설계 시트 (2방향 슬래브)

728x90
반응형

구조설계 실무에서 일반적인 내수압 슬래브를 설계한다고 하면 판해석 프로그램(MIDAS SDS, SAFE)을 이용하여 단위 모듈에 대하여 해석 및 배근을 할 것이라고 생각된다.

 

(물론 TYP. 배근으로 나가는 경우가 더 많겠지만...)

 

단위 모듈을 해석하고 슬래브 두께별, 배근별 SLAB TABLE 을 활용하여 설계모멘트강도 및 전단강도를 산정할 것이다.

 

그러던 어느날 문득... 모델링도 귀찮고.. 슬래브 두께별, 배근별 모멘트 강도를 찾으려고 단위 설계 프로그램도 열기가 귀찮아져서 설계시트를 만들어보았다.

 

본 설계시트에 반영된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1. 2방향 슬래브의 직접설계법을 사용함.

 

2. SLAB TABLE 들어가기 귀찮아서... Input 시트에서 각 슬래브의 두께와 배근에 따라 설계강도를 산정. (KDS 41 00 00, 2022 적용.)

 

3. 단위 모듈의 경간 및 독립기초의 사이즈, 기둥사이즈를 입력하여야 한다. 그 목적은 아래와 같다.

  1) 기둥사이즈 : 각 방향별 Span의 순경간 산정.

  2) 독립기초의 사이즈 : 설계시트로 확인하고 자 하는 부분은 내수압 슬래브이기 때문에 독립기초 (일반적으로 내수압 슬래브보다 두께가 크다)가 있는 부분의 모멘트를 고려하지 않기위하여.. (내수압슬래브와 독립기초가 서로 만나는 라인에서의 모멘트 값 산정)

 

4. 고정하중과 수압하중의 하중계수를 입력할 수 있도록 했다. (사용자의 자유도 확보)

 

5. 설계시트

일반적인 아파트의 지하주차장 같은 경우는 각 방향별 Span이 전형적이기 때문에 정해져 있는 배근이 있을 것이다. 따라서, 전형적인 Span에 따른 슬래브의 두께와 배근을 미리 만들어 놓고... 필요할 때마다 계산서에 근거로 첨부를 하니까 왠지 마음이 편하다...

 

(설계시트를 조금만 변형하면 2방향 슬래브의 직접설계법에도 사용할 수 있다...)

 

  • 사용법예시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