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조설계 ■/02 부재설계 관련 (내진성능설계) 연결보 비선형 모델 형성 시트 AIK-G-002-2019 기준에서는 일반보의 비선형 모델과 "연결보"의 비선형 모델을 만들기 위한 파라미터가 서로 다르다.. 1. 일반보의 비선형 모델 파라미터 2. 연결보의 비선형 모델 파라미터 따라서, 연결보의 비선형 모델을 만들어주는 엑셀이 필요했다. 배근정보 입력 -> 비선형 모델 형성 -> Perform 3D에 입력을 위한 정리 와 같이 기본적인 구성은 일반보의 비선형 모델과 같다. (일반보의 비선형 모델 형성에 대한 글을 확인하려면... ☞클릭! ) 사용법 예시 ■ 구조설계 ■/02 부재설계 관련 2023. 1. 24. (내진성능설계) 일반보 비선형 모델 형성 시트 내진성능설계를 처음 접하면... 비선형 모델에 대한 공부를 해야만 할것이다.... (대체 이게 모야?? ■ 구조설계 ■/02 부재설계 관련 2023. 1. 19. 내수압슬래브 설계 시트 (2방향 슬래브) 구조설계 실무에서 일반적인 내수압 슬래브를 설계한다고 하면 판해석 프로그램(MIDAS SDS, SAFE)을 이용하여 단위 모듈에 대하여 해석 및 배근을 할 것이라고 생각된다. (물론 TYP. 배근으로 나가는 경우가 더 많겠지만...) 단위 모듈을 해석하고 슬래브 두께별, 배근별 SLAB TABLE 을 활용하여 설계모멘트강도 및 전단강도를 산정할 것이다. 그러던 어느날 문득... 모델링도 귀찮고.. 슬래브 두께별, 배근별 모멘트 강도를 찾으려고 단위 설계 프로그램도 열기가 귀찮아져서 설계시트를 만들어보았다. 본 설계시트에 반영된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1. 2방향 슬래브의 직접설계법을 사용함. 2. SLAB TABLE 들어가기 귀찮아서... Input 시트에서 각 슬래브의 두께와 배근에 따라 설계강도를 .. ■ 구조설계 ■/02 부재설계 관련 2023. 1. 9. 2방향 전단검토 엑셀 시트 (KDS 14 20 00) 콘크리트 구조기준(KCI 2012)와 건축구조기준(KBC2016)에서는 2방향 전단에 대한 검토식이 서로 달라서 많은 혼동을 겪었었다... 하지만 현재는 KDS 14 와 KDS 41 의 2방향 전단 검토식이 통일되었으며, KDS 14 20 00 : 2021 기준에서는 2방향 전단에 의한 과설계를 방지하기 위해 ks 의 하한값을 도입하였다. 처음에 해당 기준이 개정되고 MIDAS Design+ 가 업데이트 되기 전에 사용하려고 만들었던 엑셀시트입니다. 본 설계시트를 바로 계산서에 첨부 할 수 있도록 개인적으로 반영한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슬래브와 기초의 하중고려 면적이 다르기 때문에 설계에 고려하는 전단력 Vu는 입력값으로 고려. 부재의 유효춤 d 또한 입력값으로 고려. 불균형모멘트의 영향 "미고려" .. ■ 구조설계 ■/02 부재설계 관련 2023. 1. 7. 보 설계 엑셀 시트 (KDS 41 00 00, 2022) 지극히 개인의 공부를 위해.. 그리고 업무 효율을 조금이나마 올리기 위해 만든 보 설계 엑셀 시트입니다. (초록색 부분이 Input Data...) KDS 41 00 00, 2022를 반영하여 만들었으며 검토 항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보 Type 정의 Type 1 : 전단면 배근 Type 2 : 양단부 + 중앙부 배근 Type 3 : 연속단 + 중앙부 + 불연속단 배근 공칭강도 계산 및 내력비교 휨 모멘트 강도 (압축철근 고려) 전단 강도 기준에 근거한 휨재 설계시 만족하여야 하는 내용 최소허용변형률 만족여부 단면의 적정성 검토 (최대 전단내력 > 소요 전단내력) 최소철근비 규정 : φMn ≥ 1.2Mcr 전단철근 간격 규정 fy가 550MPa를 초과 시 요구조건 : KDS 14 20 52 : 2022의.. ■ 구조설계 ■/02 부재설계 관련 2023. 1. 4. 이전 1 2 다음 반응형